본문 바로가기
생활/건강정보

콜리박틴(Colibactin) - 대장암과 연관된 장내세균 독소의 비밀

by 닥터Note 2025. 4. 24.
반응형

 


콜리박틴이란 무엇인가?

콜리박틴(Colibactin)은 일부 대장균(Escherichia coli) 균주가 생산하는 독성 대사산물입니다. 이 물질은 사람의 장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, 즉 마이크로바이옴의 일부에서 생성되며, DNA를 손상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 최근 연구에 따르면 콜리박틴은 대장암(colorectal cancer)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, 새로운 암 유발 인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
콜리박틴의 작용 원리

콜리박틴은 숙주의 세포 DNA에 이중 가닥 교차결합(double-strand crosslinks)을 유발해 DNA 복제와 세포 분열에 장애를 줍니다. 이로 인해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생하고, 장기적으로 암세포로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콜리박틴을 생성하는 대장균은 pks 유전자 클러스터를 보유하고 있으며, 이 유전자는 콜리박틴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들을 암호화합니다. 이 메커니즘은 특히 염증성 장질환 환자나 고위험군에서 더욱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콜리박틴과 대장암의 연관성

2019년 Nature 등 주요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, 대장암 환자의 종양 조직에서 콜리박틴에 의해 유도된 특정한 돌연변이 서명(mutational signature)이 발견되었습니다. 이는 콜리박틴이 단순히 독소 역할을 넘어서 암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 특히 서구화된 식단, 항생제 남용 등으로 장내 미생물 균형이 무너진 환경에서 콜리박틴 생성 균주의 활성이 증가할 수 있어 공중보건 차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

 

최근 학계에서는 콜리박틴 억제제를 개발하거나, 콜리박틴 생성 균주를 분자 생물학적으로 탐지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. 또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해 환자의 암 발생 위험을 예측하고, 개인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세우는 연구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콜리박틴과 같은 미생물 유래 물질이 인간 질병과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는지를 밝히는 것은, 암 치료뿐 아니라 예방 의학 측면에서도 큰 의의가 있습니다.

콜리박틴 연구의 향후 전망

향후 콜리박틴 연구는 정밀의료와 연계되어 대장암의 조기진단 및 예방 전략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큽니다. 또한 장내 유익균과의 상호작용, 콜리박틴 억제 천연물 탐색, 유전적 취약성 분석 등 다양한 분야와 접목된 다학제적 연구가 이루어질 것입니다. 더불어, 콜리박틴 생성 미생물을 제어하거나 제거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기술 역시 미래 치료법의 핵심이 될 수 있습니다.

요약 및 결론

 

콜리박틴은 인체에 존재하는 세균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생물학적 인자입니다. 이 독소는 대장암 발생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, 향후 진단·예방·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. 우리는 콜리박틴이라는 하나의 작은 독소를 통해 미생물과 인간 건강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고 있습니다.

반응형

댓글